전체 글68 달리기 1시간ㅡ1일차 6.22키로 달림.몸무게 104키로빼자. 2025. 10. 5. 사람에게는 얼마나 많은 돈이 필요한가? 고명환의 책을 읽다가 생각해 보다. 톨스토이의 단편선, "사람에게는 얼마만큼의 땅이 필요한가?" 읽었습니다. 짧은 단편이기 때문에 마음만 먹으면 한 20분은 좀 짧고 30분 정도면 읽을 수 있는 분량입니다. 줄거리는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듯 소작농인 파홈이 어느날 악마의 꾀임을 받고, 더 많은 땅을 욕망하다가 죽게되는 이야기입니다. 현대에는 땅을 돈으로 생각하면 되겠지요. 톨스토이가 살던 시기보다 지금은 자본주의가 더 발전된 시기입니다. 돈 들어갈 일이 많은데, 사는 날도 길어 졌으니 노년에 어찌 버텨야 할지 막막한 시기인지라 더 많은 돈을 원하지만,돈 모을 길은 막막합니다. 그러다 평소 제가 좋아하는 작가인 고명환 씨의 책을 읽었습니다. '고전이 답했다: 마땅히 살아야 할 삶에 대하여'인데, 그 책 중에 하루에 10분간 지금 당장 눈.. 2025. 9. 25. LG Uplus와 KT의 개인정보 누출 SK 텔레콤에서 대규모 Usim 사태가 있은지 얼마 안됐는데 LG와 KT도 비슷한 개인정보 누출 사태가 있나봅니다. 아직은 확실한 건 아니고 당국에서 조사는 한다는데 스마트 폰에 저장된 정보가 민감한게 많은데 이런 일이 반복되는 걸 보면 정보 사회의 숙명이라고 해야할지 아니면 관련 기업의 태만이라고 봐야할지 모르겠습니다. https://www.koreatimes.co.kr/business/tech-science/20250904/calls-grow-for-probe-into-kt-lg-uplus-data-leak-allegations Calls grow for probe into KT, LG Uplus data leak allegations - The Korea TimesSeoul YMCA urged t.. 2025. 9. 4. 제1회 AI EXPO 개최, AI 산업 육성 잘될까? 우리나라는 AI 산업에서는 후발주자가 아닌가 싶습니다. 여러 이유가 있겠죠. 전 정권에서 제대로 투자도 안했고, 우수한 인재들은 모두 의대로 달려 가고 있는 실정이기도 하고. 저는 문과 전공이지만 앞으로의 삶에서 AI는 필수재라는 것은 잘 알고 있고 효율적으로 AI를 잘 활용하는 자가 미래를 잘 대비할 것이란 것도 압니다. 이런 상황에서 처음으로 AI EXPO를 개최했다는 신문 기사를 읽었습니다. https://www.koreatimes.co.kr/business/tech-science/20250903/nvidia-microsoft-showcase-latest-industrial-ai-solutions-at-seoul-exhibition Nvidia, Microsoft showcase latest i.. 2025. 9. 3. 기록적인 서울 관광객의 증가, K-Culture가 효자인가? 영어 기사를 보니 7월에만 서울 관광객이 130만이 넘었다고 합니다. 전년대비 20% 신장이라고 하는데, 이 현상을 좋게만 봐야할지 모르겠습니다. https://www.koreatimes.co.kr/lifestyle/travel-food/20250902/seoul-sees-record-surge-in-foreign-visitors-boosted-by-popularity-of-k-culture Seoul sees record surge in foreign visitors, boosted by popularity of K-culture - The Korea TimesSeoul is seeing record numbers of foreign visitors driven especially by the ap.. 2025. 9. 2. 노란봉투법에 관한 생각(An eassy over the yellow envelop law) 노란봉투법에 대해 많은 지식은 없긴 한데, 영어기사를 찾아 보니 고용노동부에서 노란봉투법에 대한 모의협의회 같은 걸 준비한다고 해서 영문 기사를 보고 요약해 봤습니다. 나의 초고The ministry of labor and employment plans to roll out mock council to set to take effect the yellow envelop law. I think this intends to minimize controversy over the law and secure justification before the start of the law. Business worries it will increase unnecessary disputes and strikes, whi.. 2025. 9. 1. 이전 1 2 3 4 5 ··· 12 다음